카테고리 없음

TS 7.3.1 설계 및 개발 기획

JJDUCK 2006. 10. 12. 12:16
TS 7.3.1 설계 및 개발 기획
번호 : 819   글쓴이 : 빙혼서생
조회 : 60   스크랩 : 0   날짜 : 2006.06.17 03:17
7.3 설계 및 개발
7.3.1설계 및 개발 기획
조직은 제품에 대한 설계 및 개발을 계획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설계 및 개발 기획하는 동안 조직은 다음 사항을 결정하여야 한다.

a)설계 및 개발 단계
b)각 설계 및 개발 단계에 적절한 검토, 검증 및 타당성 확인
c)설계 및 개발에 대한 책임과 권한

조직은 효과적인 의사소통 및 책임의 명확한 부여를 보장하기 위하여, 설계 및 개발에 참여하는
서로 다른 그룹간의 연계성을 관리하여야 한다.

기획 출력은, 해당되는 경우, 설계 및 개발 진행에 따라 갱신되어야 한다.
***********************************************************************************
<빙혼>
(1) 설계와 개발 개념
설계는 개발의 일부로 활용될 수 있으나 개발은 설계의 일부가 아니다.

(2) 제품과 공정의 설계 및 개발 활동을 계획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즉 관리라는 것은 설계계획서 또는 개발계획서를 작성하는 실행하는 것이다.

개발계획에는 2가지가 있다.
하나는 부서장이 관리하는 전체적으로 개발품에 대한 일정을 관리하는 “개발일정표”이다

둘째는 이 규격에서 요구하는 어떤 개발품에 대한 “설계 또는 개발계획서”를 의미하며
이 때 APQP라는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

설계계획서 또는 개발일정표 등을 작성할 때 아래처럼 착각해서는 안 된다.
예) 착각 : 입력-출력-검토-검증-타당성확인 등의 프로세스 전개 방법도 좋지만
정보수집-도면작성-시작품제작-검사-고객검토-시제품제작-고객승인 등과 같이
실제적인 설계/개발업무 단계를 전개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절차서도 마찬가지다.

반드시 규격 요구사항의 용어가 아니라도 어떤 행위에 대하여 서로 일치만 하면 되는 것이다.
일부 기업들은 설계/개발 업무를 잘하고 있는데 괜히 ISO 도입한 이후로 용어 때문에 오히려
잘하던 업무를 망치는 것을 본 일이 있는 데 ISO 는 업무를 망치려고 도입되는 것이다.

시스템을 이야기할 때는 “ISO를 도입한 이후 이전보다 더욱 더 관리가 원활하고 서로가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진다“고 한다면 시스템이 잘 구축된 것이고 아니라면 소위 헛 지랄들 한 것이다.
비싸게 돈 주어 지도위원 좋은 일 시키고 인증서 하나 달랑 받은 것이다.

만일 심사원이 “입력, 출력, 검토, 검증” 등에 대하여 질문하면
거기에 적절한 단계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예) 설계유효성확인은 하셨습니까?
우라는 시제품 제작으로 유효성 확인을 하고 있으며 그것에 대한 자료는 여기 있습니다.

(3) 설계 및 개발 프로세스의 단계
가. 설계검토, 설계검증, 설계타당성 확인 등 설계단계별 프로세스 파악 : 상기 참조
나. 설계계획서 또는 개발계획서는 지정된 자에 의하여 검토, 승인되어야 한다.
다. 설계 및 개발 단계별로 “세부사항/기간/담당자/비용 등”을 명시하여야 한다.

(4)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명확한 책임과 권한을 위해 관련된 서로 다른 그룹간의 연계성이
관리되어야 한다. 대부분 “팀”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개발팀은 잘못된 것이다. 물론 영업팀, 관리팀, QA 팀 등 팀이라고 하는 것도 잘못된 것이다.
개발부서내에 “TRE 0067"개발팀이 존재하는 것이며 이 때 팀장은 부서장이 아닌 그 분야의
전문가가 팀장이 되어 팀을 운영할 수가 있는 것이다.

어떤 특정 개발 프로젝트가 완료되어 없어지는 것을 팀이라 하며
지속적으로 일하는 경우는 조직의 단위인 “부, 과 등”을 명시하라는 이야기이다.
아직도 조직도 하나 제대로 모르고 멍청한 짓 계속하면 자손만대에 “고자속출”하게 된다.

(5) 설계가 진행됨에 따라 변경될 경우 설계계획서를 갱신하여야 한다.
가. 갱신, 개정, 수정의 의미가 다르므로 각 자가 이해하기 바랍니다.
나. 설계계획서는 품질계획서의 일부로 활용될 수 있다.
<TS>==================================================================================
7.3.1.1 전문분야협력 접근방법
조직은 다음을 포함하여, 제품실현을 준비하기 위하여 전문분야협력 접근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 특별특성의 개발/완성 및 모니터링
- 잠재적 위험을 감소하기 위한 조치를 포함한 FMEA의 개발 및 검토, 그리고
- 관리계획서의 개발 및 검토

비고 전문분야협력 접근방법은 전형적으로 조직의 설계, 제조, 엔지니어링, 품질, 생산 및 기타 적절한
인원을 포함한다.
==================================================================================================
<빙혼>
(1) 말 그대로 각 기능이 모여서 “특별특성”을 개발하여 모니터링 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2) FMEA를 제품 및 공정에 전개해보라는 이야기이며
(3) 관리계획서를 개발 및 검토하라는 이야기이다.
(4) QC부서에게만 맡기지 말고 또는 혼자서 잘난 체 하지 말고 필요한 기능/담당자들이 모여서 일을
똑바로 하라고 강조하고 있다.

일이 잘못된 다음에 변명이나 헛소리 좀 하지 말라는 이야기이다.

@@@@@@@@@@@@@@@@@@@@@@@@@@@@@@@@@@@@@@@@@@@@@@@@@@@@@@@@@@@@@@@@@@@@@@@@@@@@@@@@@@@@@@
과제 1. 각 설계/개발 단계별로 설계 또는 개발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시오.

과제 2. 제품 및 공정에 대한 FMEA를 작성하여 제출하시오.
물론 블록 다이아그램을 작성하는 것 잊지 말구요^^

과제 3. 관리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시오.
가능하다면 시작품과 양산 전, 양상 각 3단계에 대하여 변경된 관리계획서를 작성하시오.
기존의 QS 공정도를 제출할 때는 관리계획서의 관리항목을 누락시키지 마십시오.

과제 4. 설계 프로세스를 파악하고 규정을 작성하여 제출하시오.